경제 비지니스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7조원 까지 인출되었다.

오션검 2023. 7. 10. 06:28
반응형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7조원 까지 인출되었다.

 

최근 금융업계가 시끌벅적합니다. 새마을금고의 대출 연체율이 6.47%까지 늘었고 두 달 사이에 7조원이나 되는 인출 사태가 일어나서 새마을금고를 사용하는 국민들이 우려하는 시각이 컸습니다.

 

1.뱅크런(Bank Run)이란?

은행의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말한다. 은행이 부실해질 것을 두려워한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달려간다(run)는 데서 유래 되었습니다.

 

2.새마을금고 뱅크런 위기인가?

-새마을 금고 관련 기사 중-

국내 저축은행인 MG새마을금고가 대출 연체율이 폭등하고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지는 뱅크런 사태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저축은행이 부실 위기에 처한 2011년 이후 12년 만이다.

 

정부는 새마을금고 사태가 한국판 실리콘밸리(SVB) 위기로 번질 것을 우려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즉각 조치를 취했다. 연체율이 높은 지점을 통합하고, 예금자 보호 한도인 5000만원을 초과한 원리금 전액 상환을 보장하고, 해지예금과 적금을 재적립하면 당초 약속한 금리를 회복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새마을금고 관리를 총괄하는 행정안전부는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위원회와 긴급 브리핑을 열었다. 이들은 "예금 동향을 실시간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위험 요인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새마을금고에서 현금이 빠져나가 예금잔고가 크게 줄었다. 4월 말 현재 새마을금고 예치금 잔고는 258조2800억원으로 2월 말(265조2700억원)보다 6조9900억원 줄었다. 두 달 동안 약 7조원이 인출됐다.

 

이 기간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권에서 예금잔고가 감소한 유일한 기관이었다. 반면 신협과 NH농협, SH수협 등 다른 상호금융기관의 예금잔액은 602조1000억원에서 612조1500억원으로 10조5000억원 늘었다.

 

뱅크런 현상은 연체율 급등에 따른 불안의 결과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올 1분기 말 대출 연체율은 5.3%로 전체 상호금융권 평균 연체율(2.4%)의 2배가 넘는다. 지난달 29일까지 새마을금고 대출 연체율은 6.2%까지 치솟았다.

 

새마을금고가 불안정한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다.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대출 잔액은 213조2000억원으로 이중 절반가량(111조6000억원)이 부동산 개발업자를 중심으로 기업에 대출됐다. 그러나 전체 연체의 약 90%가 이들 기업에 귀속되며 기업대출 연체율은 10%에 육박한다.

 

이번 위기는 2012년 사태와 유사하지만 현재 상황은 더 심각하다. 새마을금고는 2011년과 달리 부동산 PF 대출을 대폭 늘렸다. 200억원 이상 차입한 기업 중 현재 87곳이 연체돼 총 연체금액은 3조2000억원에 이른다.

 

3.정부의 대응방안

새마을금고의 뱅크런 위기를 막기 위해서 정부는 TF까지 구성 하였습니다. 위기를 막기 위한 대책도 여러 가지 공개했는데 가장 주요한 건 예금 인출 고객의 재가입 시의 혜택 복구입니다. 원래 예금을 해지하면 시점에 따라서 약정한 이자의 40~90% 정도만 받을 수 있는데 물론 예금 이자에 대한 이자소득세 면세 혜택도 받을 수 없었지만 정부는 7일까지 예금 및 적금을 해지한 고객이 14일 이전에 재가입을 하면 이율을 원래대로 적용을 해주고 이자소득세도 복구해 주겠다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대책 발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축 은행 부실 사태를 경험한 중장년층 사이에서 불안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융당국 역시 통폐합 규모 등 정확한 내용을 밝히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후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4. 그래서 내 돈은 괜찮나요?

새마을금고를 이용하게 계신분들이 제일 궁금한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새마을금고에서는 예금자 보호 조치로 인해 법적으로 5천만원 이내의 예적금과 그에 대한 이자를 포함하여 예금자 보호를 해주고 있습니다. 5000만원이 넘는 경우에는 안전과 마음의 안정을 위해 여유자금을 다른 은행으로 이체하는 것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러 기관에 예금 보유를 다양화함으로써 개인은 재무 안정성을 향상하고 잠재적인 취약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